지난 포스팅에서 반도체 공급 부족을 세부 업종별로 원인과 전망을 다루었다. 이번에는 세부 업종별로 주요 업체 실적과 주가를 점검해보겠다. 

2021.11.14 - [산업분석] - [산업분석] 반도체 공급부족 대체 언제 끝나나?

 

[산업분석] 반도체 공급부족 대체 언제 끝나나?

반도체 산업에 대한 배경지식 반도체 쇼티지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소를 전망하기 전에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했다. 반도체산업은 담당하는 역할 별로 팹리스(설계), 파운드리(생

bongbong2couple.tistory.com

<목차>

1. 팹리스

2. 파운드리

3. CPU IDM

4. 메모리 IDM

5. 차량용 반도체 

6. 반도체 장비


팹리스(공장 없이 설계만 담당)

팹리스 기업 중 퀄컴(스마트폰 AP)와 브로드컴(유무선 통신)은 코로나19 충격 저점 이후 약 160% 상승한 반면 엔비디아(GPU)는 460%나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최근 10월 이후 50%나 올라 팹리스 기업 중 시총이 가장 크다. 분기 순이익 증가율이 282%나 되는데 전년동기 일회성 재고 구축 비용으로 인한 것이며, 제외했을 때 85%정도이다. 마진율도 64.8%로 어마어마하게 높다. 

 

팹리스는 파운드리가 공장을 풀가동해도 감당하지 못할 만큼 수요가 많은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퀄컴이나 엔비디아나 실적이 계속 좋아지는 것을 보면 IR에서 얘기한 것처럼 수익성 높은 제품을 우선하는 전략도 있겠지만 제품 단가가 높다 보니 파운드리에 주문 넣을 때도 상대적으로 우월한 입지에 있는 것은 아닐까 추측되었다. (완전 뇌피셜!)

 

파운드리(팹리스 설계안의 생산만 담당)

파운드리 선두주자인 TSMC는 저점 대비 약 130% 상승한 반면, 삼성전자는 35% 상승에 그쳤다. 사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점유율 10%로 2위이긴 하지만 기업 매출 중 스마트폰이 45%, 반도체 30%, 가전 20%이고, 반도체 중에서도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가 75%, 비메모리 반도체 중에서도 파운드리는 40%에 불과하여 전체 매출 중에는 3%밖에 차지하지 않는다. 파운드리가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문의 다변화를 위해 중요하고 성장 기대감이 크기는 하지만 실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같다. 

 

CPU IDM (CPU의 설계와 생산을 담당) 

CPU IDM 1위인 인텔은 저점 대비 -3%로 하락한 반면, AMD는 200% 이상 상승했다. 불과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전체 CPU시장에서 인텔이 80%의 점유율을 차지했으나 2년 사이에 60%까지 줄어들었다. 2위인 AMD의 가파른 추격에다가 애플도 자체 칩셋 개발로 독립하면서 인텔의 입지가 줄어들었다. 

 

 

메모리 IDM(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의 설계와 생산)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은 2021년 상반기 고점 대비 30% 가량 하락한 상태이다. 메모리반도체 다운사이클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이미 7월부터 D램 가격이 보합세를 보이고 있고 4분기부터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참고로 과거 2018~2019년 다운사이클에는 개당 D램 가격이 2018년 9월 $8.19에서 2019년 12월 $2.81까지 떨어졌고, 주가는 기간 고점 2018년 5월 기간 저점 2019년 1월 사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약 30%, 45% 하락했다. 현재 D램 가격은 2021년 7월부터 보합세를 보이다가 10월 전월 대비 약 10% 하락하여 $3.71이다. 

 

메모리반도체의 주요 수요처인 서버, PC, 스마트폰 등은 성장률이 높지 않은 반면 주요 업체의 증설로 인하여 공급 과잉 우려가 있다. 일각에서는 이미 30% 하락하여 저평가 구간이며 단기적 요인인 중국의 전력난이 해소되면 내년 2분기부터는 다시 업황이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길게 본다면 지금이 낮은 가격일 수 있지만 올해 말까지를 본다면 D램 가격 하락이 전망되는 메모리 반도체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을 것 같다. 

 

차량용 반도체 IDM

차량용 반도체 3대장은 나란히 저점 대비 130~200% 상승하였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이 이르면 2022년 하반기, 적어도 2023년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므로 그때까지는 이들 기업의 실적 증가세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2위인 NXP는 1위인 인피니언에 비해 PER도 낮고 상승률도 낮아보인다. (왜지...?)

 

NXP는 삼성전자가 인수를 고민하는 유력 후보이기도 하다. 2019년에도 인수설이 돌았는데 삼성전자가 부인했다고 한다. 당시는 기업가치가 40조원이었는데 지금은 80조원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가 2019년부터 10년간 비메모리 반도체에 10년간 133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고 130조원의 현금여력이 있는데... 아직 3년차인 지금 133조원의 60%인 80조원을 과연 NXP 인수에 쓸까 싶다.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장비업체도 파운드리 업체의 증설 투자에 따라 가파른 실적 개선과 주가 상승을 보였다. 반도체 장비도 초과 수요로 인해 리드 타임이 지연되며 반도체 쇼티지의 영향을 받고 있다.

 

기업 중에서는 반도체 미세공정에 필수적인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를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ASML은 주가 상승률과 PER 모두 가장 높다. 

 

 


관심 종목

엔비디아

  • 주가 상승세가 가파르기는 하나 고속 성장하고 마진도 높은 GPU 시장에서 압도적 점유율 1위 (70%)
  • PER 100배 이상이 부담스럽지만... ㅠㅠ 나에게는 테슬라도 있는데 뭐.. 

TSMC

  • 각종 팹리스가 TSMC를 바라보는 상황. 성장 산업의 1등 기업 (50%)
  • 삼성전자, 인텔의 추격이 리스크 

NXP

  • 차량용 반도체 쇼티지의 중심에 있는 기업으로 2023년까지 실적 성장세 지속
  • 동일 업종 대비 주가상승률과 PER이 낮아보임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요약  (0) 2021.09.14

 

2021.09.14 - [분류 전체보기] - [산업분석] 전기차, 배터리 산업 조사

 

[산업분석] 전기차, 배터리 산업 조사

※ 과학적 베이스 없이 산업을 이해하고자 정리한 자료입니다. 사실과 다를 경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의문에 대한 답변은 저의 사견입니다. 투자 판단은 나열된 정보를 바탕

bongbong2couple.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산업 전반에 대한 조사를 했다. 이번에는 세부 업종별 관련 기업을 정리해보겠다. 이하에서는 다음의 기업들을 커버한다. 

출처 : FnGuide, 주 : PER은 12개월 FWD 9.14일 현재 기준 


1. 완성차 : 현대, 기아 

2020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 실적은 아래와 같다. 현대차, 기아차는 점유율 6.7%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의 주요 전기차는 코나, 아이오닉5가 있고, 기아는 니로EV, EV6가 있다. 각각 코나와 니로가 전기차 판매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현대의 신차 아이오닉5는 현대차그룹의 플랫폼 E-GMP를 적용하여 생산하였고, 국내외 반응이 호의적이다. 기아도 지난 8.2일 신차 EV6를 출시했는데 출시한 달 2천여대를 판매하여 순조로운 출발을 했다. 


2. 배터리 :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국내 업체 중에서는 LG엔솔이 삼성SDI, SK이노베이션보다 점유율이 3~4배 가량 높다. 주요 고객사는 아래와 같다. 

 

 

개별 업체 이슈로는 

  • LG화학 : 배터리 폭발로 인한 GM 리콜 사태. 안정성에 대한 신뢰 저하. LG엔솔 IPO 상장 지연 우려
  • SK이노베이션 : 배터리 부문 물적분할로 28% 수준의 지분 희석(오는 9.16일 주총 안건) 

 

 

2-1) 배터리소재 : 양극재

  • 에코프로비엠

- 국내 양극재 1위.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향 양극재 공급

- 매출 중 양극재 비중 86%, 이익률 약8% 배터리소재업체 중 높음 

- 니켈 등 원자재 가격 상승. 배터리셀 업체에는 부정적이나 소재업체 매출에는 긍정적

- 10월 중순 미국 증설 계획 발표 전망 

 

  • 포스코케미칼

- LG화학 향 양극재, 음극재 공급 

- 매출 중 양극재 비중 37%, 음극재 비중 11% (이외 생석회, 케미칼 등)

- 양극재는 원재료 가격 상승, 수익성 개선 중. 음극재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전기차 생산 차질 

- 중국 화유코발트와 합작하여 생산기지 약 2810억원 투자

 

  • 엘앤에프

- 고객사 비중 LG화학 60% 삼성 25% SK이노 15%. 지난 6월 배터리 내재화 추진하는 미국 완성차 업체와 계약 체결 

- 매출 중 양극재 비중 약 60%. 높은 부채비율, 낮은 영업이익률로 재무구조는 에코프로 대비 부진 

 

2-2) 배터리 소재 : 음극재

  • 대주전자재료

- 메출 비중 전도성 페이스트 53%, 실리콘음극재 14%, LED 형광체재료 11%, 태양전지 전극 재료 9%

- 주요 고객사 : LG화학 (포르쉐 스포츠 전기차 ← LG엔솔 배터리 ← 대주전자재료 실리콘 음극재 첫 적용)

실리콘음극재는 이론상 흑연의 10 배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지만, 충〮방전시 부피 팽창 과 낮은 전기전도도 등의 문제로 적극 채택되지는 못하고 있었다. 동사는 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상합성공정을 적용해 고효율 실리콘복합산화물 양산에 최초로 성공해 현재 고 객사 초고가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에 첨가돼 판매되고 있다. 실리콘음극재를 개발한 업 체들은 많지만, 동사와 같이 대규모로 양산하는 업체는 아직은 없는 상황이다

출처 : SK증권 

 

  • SK머티리얼즈

- 메인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 

- 21.7.20 실리콘 음극재 기술력 보유한 '그룹14'와 JV설립하여 2차전지 산업 진출 

- SK이노베이션과의 시너지 기대 

 

2-3) 배터리 소재 : 분리막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1급 분리막 1위. 분리막은 배터리 안정성과 직결, 높은 진입장벽

- 매출 중 분리막 비중 99%

- 공격적 증설, SK이노 향 수주 기대 

 

 

2-4) 배터리 소재 : 전해질

  • 동화기업

- 전해액 비중 8%, 이외 목재 

- 전해액은 원재료 가격 상승시 원가 부담으로 수익 감소. 3Q21부터 원가 상승을 고객사에 전가 

- 주요 고객사 삼성 SDI, SK이노

 


3. 전기모터 

  • LG전자

- 자동차 부품 비중 11%, 휴대폰 철수하고 전장부품 추진중 

- 가전에서 쌓은 모터 기술력 + 마그나 합작

- 마그나는 북미 최대 자동차 부품업체로 섀시, 바디, 트림, 공기역학 설계, ESS, 파워트레인, 트랜스미션, ADAS, 자율주행 시스템, 콘솔, 조명, 좌석 시스템, 사륜구동 시스템 등 자동차에 필요한 대부분의 것을 만들고 판매

- LG그룹은 전기차 강력한 공급 체계 구축 중 

LG마그나e파워트레인(전기차 동력계)부터 LG에너지솔루션(배터리), LG디스플레이(인포테인먼트 시스템), LG이노텍(자율주행용 카메라), LG전자(열 관리 시스템·전장)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에 범LG로 분류되는 LX하우시스(자동차 내외장재), LX세미콘(반도체)과의 시너지도 기대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07/08/THP5227W65A6XNMG77DVEYTEOM/

 

  • SNT모티브

- 에어백, 전장, 오일펌프 등 차량부품 비중 87%, 친환경 모터 비중 30%

- 고객사는 현대, 기아, GM 등 

-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완성차 수주 지연

 


4. 전동화 플랫폼  

  • 현대모비스

- 자동차 부품 관련 다양한 사업 영위. 모듈의 제조 및 조립이 매출 중 81% 차지, 전동화 플랫폼 비중은 14%

- 현대, 기아차 플랫폼 E-GMP ← 모비스가 핵심 모듈인 PE(모터 + 인버터 + 감속기 등 통합) 공급

- 전동화 플랫폼은 향후 외형 성장을 이룰 것이나 아직 수익성이 낮은 상태

- 2Q21까지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실적 부진 

 

  *전동화 : 구동 방식이 내연기관에서 전기모터로 전환

모듈은 이미지와 같이 자동차 특정 부위에 사용되는 부품을 조립하여 완성차에 공급하는 단위 


5. 소프트웨어(OTA)

  • 현대오토에버

- 21.4.1 현대엠엔소프트(네비게이션 구축)와 현대오트론(차량용 SW플랫폼)을 흡수합병하며 출범

- 현대차그룹의 ICT기업. 차량 SW 플랫폼(자율주행, 커넥티드 등), 차량 연동(IoT를 통한 원격 제어), OTA(무선 업데이트) 

- 단기적으로 합병에 따른 비용 증가 요인이 크지만 2~3년 뒤에는 고부가 사업의 이익 확대 전망 

 

 

<참고> 국내 OTA 현황 

- OTA는 내비게이션 등 정보 제공 관련 소프트웨어 OTA인 SOTA와 차량의 하드웨어를 업데이트하는 펌웨어 OTA FOTA로 구분, FOTA는 차량의 통합제어를 전제로 하는 이른바 궁극적인 OTA 기술

- 국내는 자동차 관리법에 의해 하드웨어는 등록된 장소에서 수리할 수 있어 FOTA가 불가했으나 20.6월 규제 샌드박스 통과하여 (서비스 개시 후 2년간) 허용, 이후 재신청 가능 

http://m.newstomato.com/one/view.aspx?seq=1066526&repoter=%EC%A1%B0%EC%9E%AC%ED%9B%88 

 


개인적으로 관심 가는 종목

  • 완성차 : 테슬라 

- 완성차 점유율 1위, 소프트웨어도 선두 

- 이외 미래지향적 사업(스페이스 X, 로보틱스 등) 영위하기 때문

  • 배터리셀 : 삼성SDI

- LG화학은 리콜 이슈, SK이노는 물적분할 이슈 

- 삼성SDI는 전지 전문, LG 리콜 이슈 동안 점유율 확대 가능성 

  • 배터리 소재 : SKIET

- 안정성 관련 중요도 높음. 진입장벽 높음

- 이익률 높음

- PER도 높음 주의. 2~3년 길게 보면 수주 늘어나고 PER도 낮아질 듯

  • SW : 현대오토에버

- 당장은 가시적 성과를 못 느끼겨서 못 사겠음.

- 아직 개념이 잘 안 서는데 1년 후 차량용 SW란 이런 것이다!를 보여준다면 성장성, 수익성 높아서 IT기업만큼 밸류를 받지 않을까? 

- 성과 나오는 것 지속 모니터링하기!

+ Recent posts